본 포스팅에서는 우울증 및 우울 정서를 측정하는 심리검사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우울 정서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검사로는 BDI, MMPI-2, 웩슬러, TAT, 로샤 등이 있다.
1) BDI검사 (Beck Depression Inventory)
- 인지치료의 전문가인 아론 백이 제안한, 우울증상의 유무와 증상의 심각성 정도를 평가하는 자기보고형 척도이다. 증상의 정도를 표현하는 구체적인 진술문에 응답함으로써 자신의 심리상태를 수량화 하는데서 겪는 혼란을 줄일 수 있다.
1961년 개발된 이래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울증의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신체적 증상 영역을 포함하는 21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항은 네 개의 문장으로 되어 있다.
- 실시방법
(1) 오늘을 포함한 지난 일주일 동안 자신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하나의 문장을 선택.
(2) 하나도 빼지 말고 반드시 한 문장만을 선택하되, 너무 오래 생각하지 마시고 솔직하게 응답
(3) 선택하면서 점수를 기록 한 후 전부 더하기.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0, 1, 2, 3점
- 결과 : 24점 이상이면 심한 우울이며 치료가 필요하다.
2) MMPI-2
- 해당검사에서 우울증은 척도 2, DEP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척도 2는 우울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총 6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픔, 사기저하,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생각, 무기력 및 절망감 등을 나타낸다. 척도 2는 현재의 정서상태에 민감하고 단독상승 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나머지 다른 프로파일의 형태를 고려해서 해석하도록 해야 한다.
척도 2가 높은 사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T점수 70 이상으로 높게 상승되었을 경우 우울 증상이 나타난다. 불행감과 우울한 기분을 느끼며 일상생활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이 상실되어 있다. 불안하고 위축되어 있으며 자존감이 낮고 비관적이다.
- DEP척도는 우울증의 인지증상 및 우울증적 사고방식을 민감하게 반영한다.
하강: 팽창된 기분이나 고양된 기분이 존재한다고 해석하는 것 보다 우울증상이 부재한다 혹은 우울증상을 부인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사람은 방어적, 과잉활동적, 지나치게 유쾌하며 쉽게 화를 낸다.
다른 척도와의 관계에서 척도 2에는 정신운동지체, 공격성의 억제, 신체생리증상과 같은 다양한 우울증상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DEP에는 이것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 DEP이 더 상승한 경우: 성격적 색채가 두드러지는 만성적 우울증을 시사한다. 정신분열증과 양극성 우울증을 감별하는 능력은 DEP척도가 우수하다.
- 척도 2가 더 상승: 신체생리증상이 특징적인, 복잡하지 않은 우울증을 시사한다.
3) 웩슬러 지능검사
- 언어성 지능이 동작성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인다. 3판은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이고, 4판은 언어이해지수와 지각추론 지수로 본다. 우울증이 있으면 만사가 귀찮기에 그냥 말로 대답하는 것보다 생각을 해야하고 시간제한이 있는 검사에서 좀 더 낮은 수행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 쉽게 포기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구력이 부족하다.
- 언어성 검사 중 공통성 점수가 낮으며, 동작성 검사 중 빠진곳 찾기를 제외한 다른 동작성 소검사의 점수가 낮다. '공통성'은 언어성 검사지만 두개의 단어를 듣고 비슷한 점을 말하는 거라 논리적 사고와 유추능력 등이 필요한 한마디로 지능을 사용하는 검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작성 검사 중 '빠진 곳 찾기'를 제외하고 다른 소검사 점수가 낮다는 것에서 빠진 곳 찾기는 제외되는 것은 제일 쉬운 소검사가 '빠진 곳 찾기'이기 때문에 이 점이 감안된다.
- 전반적으로 반응이 느려 시간제한이 있는 검사항목에서 점수가 낮다. 시간제한이 있는 시각-운동 협응능력을 요구하는 바꿔쓰기, 토막짜기에서 낮은 수행 점수를 보인다.
- 반응의 질적인 면에서 정교화나 언어표현의 유창성 등이 부족하다.
- 자신에 대해 비관적이지만 사고의 와해는 보이지 않는다.
- 언어이해지수(VCI : Verbal Comprehension Index)
소검사 | 구분 | 실시법과 평가내용 |
공통성 | 핵심 | - 두 개의 단어를 들은 후 유사점 말하는 것 (예) 사과와 포도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 평가 : 유추능력과 논리적 사고를 보는 것 |
어휘 | 핵심 | - 제시된 단어의 뜻을 말하는 것 (예) 공포는 무슨 뜻인가? - 평가 : 언어개념에 대한 표현력를 보는 것 |
상식 | 핵심 | - 일반적 지식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을 하는 것 (예) 이순신은 누구입니까? - 평가 : 누적된 지식수준과 결정성 지능으르 보는 것 |
이해 | 보충 | - 일반적 원칙과 상황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대답하는 것 (예) 가해자에게 재발방지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평가 : 사회적 관습에 대한 기준과 판단력을 보는 것 |
지각추론 지수(PRI : Perceptual Reasoning Index)
소검사 | 구분 | 실시법과 평가내용 |
토막 짜기 |
핵심 | - 흰색, 빨간색으로 이루어진 토막을 사용하여 제시된 모양과 같게 만드는 것 - 제한시간이 있음 - 평가 : 공간구성과 지각적 구성력 확인 |
행렬 추론 |
핵심 | - 불완전한 행렬을 보고 다섯 개의 반응선택지에서 제시된 행렬의 빠진 부분을 찾는 것 - 평가 : 유동성 지능과 추상적 추론 확인 |
퍼즐 | 핵심 | - 제시된 도형을 만들기 위해 제한된 개수의 도형조각을 얼마나 고를 수 있는지 측정하는 것 - 평가 : 시공간 구성력과 추론능력 확인 |
무게 비교 |
보충 | - 양쪽 무게가 달라 균형이 맞지 않는 저울 그림을 보고 균형을 만들도록 반응선택지에서 찾는 것 - 제한시간이 있음 - 평가 : 추상적 추론능력 확인 |
빠진곳 찾기 | 보충 | - 그림을 보고 빠져있는 중요한 부분을 가리키거나 말하는 것 - 제한시간이 있음 - 평가 : 시각적 예민성, 주의집중력 확인 |
4) TAT
- 사고가 위축되어 있고 반응과 언어가 느리고 정동이 가라앉아 있다. 이야기는 대개 자살사고, 고립감, 거부당함, 무가치감, 인물들의 무능력 등에 관한 주제를 포함한다.
5) 로샤
- 우울증상이 있는 사람은 보통 음영차원과 무채색 반응의 빈도가 높다.
- 6개의 특수지표 중 우울증 지표(DEPI)가 있으며 병적인 내용으로 파괴되고 손상된 사물과 우울한 느낌을 주는 사물 중 한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을 때 채점하여 지표를 상승시킨다.
HTP, KFD 검사의 실시 방법과 해석 (0) | 2023.05.06 |
---|---|
MMPI-2 임상척도 해석(+긍정해석) (0) | 2023.05.06 |
의미요법 상담이론의 인간이해, 이론적 개념, 상담목표, 상담기법 (0) | 2023.05.06 |
실존주의 상담이론의 인간이해, 이론적 개념, 상담목표, 상담기법 (0) | 2023.05.06 |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인간이해, 이론적 개념, 상담목표, 상담기법 (0) | 2023.05.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