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내담자의 대인관계, 자살 사고를 알아볼 수 있는 심리검사들

상담, 심리학 이론, 심리검사

by 베리타스901 2023. 5. 6. 16:21

본문

반응형

내담자의 대인관계, 자살사고를 알아볼 수 있는 심리검사들

 

본 포스팅에서는 내담자의 대인관계, 자살 사고를 알아볼 수 있는 심리검사들에 대해 차례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HTP

1) Home (문이나 손잡이를 빠트린 경우: 다른 사람이 들어오거나 자신이 나아가는 것에 대한 불안 저항. : 과도하게 큰 문은 타인에게 의존, 작은 문은 환경과의 접촉 꺼림. 열린 문은 외부로부터 정서적 따뜻함을 받고자 하는 욕망. 창문 : 없음은 대인관계에 대한 불편감 및 위축됨 반영, 많음은 타인과 관계 맺고자 하는 욕구와 인정 받고자 하는 소망 반영. 지붕 : 너무 큰 지붕은 대인관계에서 위축됨 나타남.

2) Tree(대인관계와 관련된 주관적인 경험, 가지 없는 경우 : 대인관계 위축됨)

3) Person(얼굴을 맨 나중에 그림: 대인관계에 문제를 보이거나 타인과의 정서적 교류 즐거워 하지 않음. : 타인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없으면 대인과계에 대한 불안감, 회피, 사고장애의 가능성을 시사. 지나치게 크게 그린 경우 타인과의 교류에 있어서 예민함, 의심, 불안 등을 시사함. : 그리지 않은 경우 타인과의 의사소통 상의 어려움 등을 시사함.

 

2. SCT

- 삭스(Sacks)SCT에서 대인관계 영역은 친구, 동료, 권위자에 대한 태도 측정 가능.

이 영역의 문항들은 가족 외의 사람들에 대한 생각이나 감정, 자신에 대해 타인이 어떻게 느끼는지에 관한 수검자의 생각들을 표현함.

ex) “내가 싫어하는 사람은 ㅡ”, “내가 없을 때 친구들은 ㅡ”, “우리 윗사람들은 ㅡ

 

3. TAT

- 다양한 인물들 그림이 등장하며 대인관계 경험과 대인관계 양식과 관련된 내적인 경험과 갈등을 투사하게 됨. 대인관계 상황에서의 욕구내용, 원초자, 자아, 초자아의 타협구조 등 파악 가능.

- Arnoid의 대인관계법 해석 : 인물간의 대인관계 사태분석법.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사회적 지각 및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한 해석방법으로 이들 간의 공격, 친화, 도피감정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방법.

도판 : 110. 기본적인 대인관계 묘사

 

자살 사고를 알아볼 수 있는 심리검사들

 

1) TAT

- 도판 3BM(소년과 권총 그림 : 소년이 피해를 입었거나 잘못을 저지른 사람으로 그려짐. 곤경에 대처해나가는 해결과정 및 대처방식)

도판 12BG(인적 없는 숲속 시냇가의 나룻배 : 흔히 자살, 죽음, 우울 경향이 잘 나타나고 은둔적 경향 드러남). 14(어두운 배경. 창가에 앉아 있는 사람 : 자살 충동).

도판 14(어두운 배경. 창가에 앉아 있는 사람 : 죽으려고 창문을 뛰어내리려 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음. 자살에 대한 집착 등 나타남)

도판 17GF(큰 선물과 다리, 난간에 기댄 여인 : 여자가 사랑하는 사람이 돌아오기를 기다리거나 자기 생각에 빠져 있다고 이야기 될 수 있음. 자살경향이나 자포자기, 우울, 불행 등 나타남.)

 

2) MMPI-2

(1) 임상척도

- 4번 척도 : 우울(Depression: DEP). 65T 이상일 때 자살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고 자살시도 할 가능성 높음. 75T이상일 때 죽음 및 자살에 몰두해 있을 수 있음. 염세적 및 비관적인 사고, 우울감, 불행감, 불면 등과 함께 자살 사고 나타남. DEP4 : 최근 혹은 현재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생각과 관련.

(2) Sc 소척도

- Sc1(사회적 소외) : 조현병의 핵심을 담고 있는 척도이지만 자살사고가 심한 우울증, PTSD, 경계선 성격 장애에서도 상승함.

- Sc2(정서적 소외): 지속적 방임 등으로 인해 기대감 상실되어 삶 자체에 애착을 느끼지 못하므로 자살사고 및 자살 시도 가능성 높기 때문에 DEP4와 결정적 문항 함께 살펴야 함.

(3) 상승척도쌍(2코드 유형)

- 2-7/7-2(우울, 강박). 2-8/8-2(우울, 조현) : 우울, 열등감, 죄책감, 불안 등으로 자살사고

- 78/87(강박, 조현) 상승 : 7번 척도의 주요 정서로 죄책감, 수치심과 8번 척도 정체감 혼란으로 우울하고 비관적인 느낌이 보고되며 자살 사고 가능성.

(4) 결정적 문항

우울 및 걱정 : 303. 죽어 버렸으면 하고 바랄 때가 많다.

 

4) BDI검사 (Beck Depression Inventory)

- 9번 자살 사고 : 0점 나는 자살 같은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 1점 나는 자살할 생각을 하고 있으나 실제로 하지는 않을 것이다. 2점 나는 자살하고 싶다. 3점 나는 기회만 있으면 자살하겠다.

- BDI 검사의 경우 26점 이상이고 이 수치가 2주 이상 계속된 상황이라면 우울 관련 전문적 치료를 권고해야 상황에 자살사고에 대해 1점 이상 확인될 시 즉각적인 위기상담을 통해 자살 관련 탐색 및 내담자가 고위험군일 경우 도움을 줄 수 있는 관련 기관 등을 안내해야 함.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